목뼈는 옆에서 봤을 때 C자 모양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목뼈가 과도하게 앞쪽으로 C자 형태를 이루면서 목이 앞으로 빠져있는 증상을 말합니다. 과도하게 목뼈가 젖혀지게 되면 목뼈 사이에 신경이 나오는 공간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이 앞으로 나오게 되면서 하악골을 거상하는데도 부담을 주게되어 만성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 증후군은 버섯증후군(mushroom syndrome)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으로는 구부정한 자세와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많이 발병합니다.
버섯증후군은 경추를 받쳐주는 첫 번째 흉추뼈가 과도하게 뒤로 나온 증상을 말합니다. 버섯처럼 볼록하게 생겼다고 해서 버섯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버섯증후군은 그 자체부위의 통증을 유발하기보다는 양쪽 견갑골에서 가운데 추 역할(시소에서 가운데 중심역할) 그다음 목뼈를 받치는 기둥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추치료와 견갑대를 통한 상지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버섯증후군으로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는 얼굴쪽 질환 만성두통, 비염, 만성피로, 견갑대를 통한 어깨결림, 팔저림 등등 이러한 증상이 종합적으로 나타날 때 의심 해 볼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으로는 엎드렸을 때 날개뼈 사이에 척추뼈가 과도하게 뒤로 나와있을 때 버섯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치료는 교정치료와 운동요법을 통한 자세교정과 주사치료를 통한 통증치료가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경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의 수핵이 흘러나와서 신경을 압박하게 될 때 상지쪽으로 저림 통증이 유발되는 증상입니다. 돌출된 부위에 따라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어깨와 팔쪽으로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척수에 손상을 줘서 마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부하가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허리보다 발병이 덜합니다. 만성적으로 눌려서 돌출되는 경우보다 특발성으로 외부 충격 등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주사치료와 물리치료를 꾸준히 하게되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