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추간판이라는 구조물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으면서 추간판 내부에 있는 젤리같은 수핵이 탈출하여 주변의 척추신경을 압박함으로써 다양한 신경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요통과 하지의 방사통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 노화, 외부충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척추뼈가 비뚤어진 상태로 오랜 시간 지속적인 압박을 받으면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눌려 찌그러지면서 벌어진 쪽으로 밀려 나오게 됩니다. 마치 고무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 한쪽으로 바람이 밀려서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치료는 주사치료와 물리치료를 통한 보존적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시키는 질환입니다. 디스크가 만성화되면 추간판 사이에 있는 수핵이 줄어들어 디스크가 얇아지면서 뼈 사이 공간을 유지를 못하게 되어 뼈와 뼈가 눌리게 됩니다. 이때 뼈가 서로 압착이 되면서 공간이 좁아지고 뼈가 증식하면서 신경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척추분리증은 디스크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위 아래 척추를 연결해주는 후관절이라는 뼈가 있는데 이곳이 골절이 되면서 아래뼈를 기준으로 위쪽 척추가 앞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정화되어야 할 척추뼈가 움직이게 되면서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이 발생되게 됩니다.
특히 체중부하가 많은 요추 5번째 척추뼈에서 많이 발병하며 조기에 발견하지 않고 만성화 되었을시에 뼈가 앞쪽으로 많이 밀려나면서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병이 진행이 됩니다. 심하지 않을 경우 주사치료와 물리치료를 병행하여 척추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척추는 뒤에서 보았을 때 수직으로 1자가 정상이지만 어떠한 원인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서 척추가 C자나 S자 형태로 변형된 것을 말합니다. 초기에는 통증도 심하지 않고 심하지 않으면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알기 어렵습니다. 병이 오래되어 만성화되면 척추 주변의 근육과 인대 신경 조직등이 변형이 되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외관상 심미적으로도 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 교정치료와 운동치료를 통하여 척추를 바르게 정렬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